이 글에서는 LG 주가 전망과 목표 주가, 기업 정보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주식 투자의 중심은 미래의 기업 가치를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움직이는 것입니다. 투자할 종목을 고르기 전에 현재 기업 상태와 지표를 살펴야 합니다. LG 주식의 주요 현황과 투자 정보를 확인하시고 주식 투자에 유용한 정보들을 한 곳에 정리해두었으니 투자 전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LG 주가와 신산업 동향 분석과 기회 탐색
LG 기업 개요
LG는 복합 산업 기업입니다. 대표자는 구광모, 권봉석 이며 설립일은 1947/01/05, 주식 상장일은 1970/02/13입니다. 전체 종업원 수는201명 이고 본사 주소는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28 LG트윈타워입니다.
투자 결정에 신속한 정보 습득이 필요하므로 항상 최신 뉴스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LG 주가 분석
LG 현재 주가는 93,900원이며 전일 대비 -7,600원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LG의 주주현황을 살펴보면 구광모 주주가 전체 지분 41.70%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LG는 복합 산업 기업으로 장중 기준으로 주가는 93,900원 입니다. LG의 시가 총액은 14조6919억 원이며 발행 주식수는 157,300,993주 입니다. 외국인 보유 비중은 36.19% 이며 장중 거래량은 604,229원 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54,102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EPS는 9,793원이며 LG 주식 배당수익률은 3.84% 입니다.

주주 조합 정보는 단기 투자를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장기적인 투자를 고려 중이라면 주주 조합과 대표자 정보를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LG 가치 분석
기업 가치 평가를 위한 방법은 많지만, 그 중에서 기술 지표를 활용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LG는 전체 기술주 2,075개 기업 중 1,918위 등급인 최하위입니다. 대표 섹터 평가 7개 기업 중 7위 등급인 최하위입니다. 대표 테마 평가 38개 기업 중에서는 35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투자 매력도를 평가해보면 전체 기술주 하위 0.39%, 대표 섹터 최하위, 대표 테마 37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동종분야 기업들의 평균적인 기술력 대비 주가에 비하여 현재 동사의 기술력 대비 주가는 고평가되어 있습니다.
LG 주식 결론
<디스플레이·석유화학 부진으로 이익감소>
-1947년 설립되었으며, LGCI와 LGEI와의 합병을 통해 2003년 3월 국내 최초 순수 지주회사로 전환함. 연결대상 종속회사들이 영위하는 사업은 IT서비스업(LG CNS), 부동산 종합서비스업(디앤오), 경제경영 교육 및 자문업(LG경영개발원), 스포츠(LG스포츠), 부동산 임대업임. LG전자, LG화학, LG유플러스를 포함 총 9개의 국내자회사를 보유하고 있음. 영업수익(별도)은 배당수익, 상표권 사용수익, 임대수익 등임.
-종속회사인 LG CNS의 매출이 늘었으나, 디스플레이 및 석유화학 사업의 부진 등으로 지분법 손익이 감소해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감소함. LG이노텍 이익 감소, LG디스플레이 영업적자 확대로 인해 전자계열의 영업이익률이 0.8%로 지난해 같은 기간 2.9% 보다 크게 낮아짐. 화학계열은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시장 판매확대로 매출이 늘었음에도 석유화학제품의 수요부진 및 경쟁사 저가공세 지속으로 영업이익률이 하락함.
주식시장에서는 외국인, 기관 및 개인 등 세 가지 주요한 매수 세력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매수주체는 개인 투자자입니다. 각각의 투자 방식이 일치하지 않는 개인 투자자는 주식에서 큰 매수 주체이자 약한 세력입니다. 투자에 집중이 되지 않아 기관 투자자나 외국인 투자자에게 밀리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이 때문에 개인 투자자는 기관이나 외국인 세력의 추세를 따라가고, 약한 세력에서도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기관 투자자를 따르는 추세가 최근에 더욱 두드러지며, 이는 외국인의 매수가 불안정하고 개인의 단기 거래가 기관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함께 매수하는 종목에 투자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고, 이러한 동시 매수는 그 종목이 우수하다는 의미입니다. 주식의 미래 전망을 분석하려면 기업체의 현황을 조사하고 시장에서의 위치를 파악해야 하며,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 추세를 분석하면 수익률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